상팔담의 형성에 준 빙하작용의 영향[2020-05-14]
상팔담구역은 맨 웃담소로부터 맨 아래담소까지 거리가 약 250m로서 그리 길지 않지만 금강산을 대표할수 있는 가장 독특하고 뛰여난 자연경치를 자랑하고있다. 이것은 빙하작용과 떼여놓고 생각할수 없다. 우선 상팔담구역의 빙하흔적에 대하여 보기로 한다. 상…
조회 : 823
환선정터와 사선봉의 지명유래[2020-05-06]
환선정터는 총석정구역에 있는 옛 정자터이다. 총석정의 서쪽기슭에 있다. 전설에 의하면 옛날 신선들이 올라 서로 부르며 즐기던 정자이므로 《환선정》으로 불렀다고 한다. 사선봉은 총석정구역에 있는 돌기둥이다. 총석정가운데 있다. 4개의 돌기둥…
조회 : 848
만폭동계곡의 빙퇴석[2020-05-05]
1) 표훈사빙퇴석 이 빙퇴석은 표훈사아래쪽 삼불암의 맞은편 해발 590m지점에 있는데 그 크기가 길이 40~60m, 너비 70~80m, 높이 7~9m이다. 퇴적물은 력과 모래로 되여있는데 모래비률은 15~20%, 력의 직경은 1.5~2.3m 혹은 4~5m이다. 층리가 나타나지 않으며 모래가 집중된곳…
조회 : 796
금강산에 대한 옛 시가작품 《혜성가》[2020-05-05]
금강산에 대한 옛 시가작품들중에는 6세기말-7세기초에 창작된 향가 《혜성가》도 있다. 혜성가는 금강산에 대한 시가작품들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혜성가는 《삼국유사》 5권에 창작동기에 대한 해설과 함께 실려있다. 그에 의하면 신라의 화랑…
금강산지구 폭포들의 구역별특징과 형성원인[2020-05-05]
금강산에는 4대폭포로 이름난 구룡연계곡의 구룡폭포와 비봉폭포, 구성계곡의 옥영폭포, 성문동계곡의 십이폭포를 비롯하여 각양각색의 폭포들이 수없이 많다. 그가운데서 구룡연구역과 만폭구역, 태상구역의 폭포들은 서로 뚜렷이 대조되는 특징을 나타내고있다. …
조회 : 803
금강산의 지형특성과 그 희귀성[2020-05-05]
금강산은 그 경치특징으로 하여 외금강, 내금강, 해금강지구로 나눈다. 외금강지구에는 비로봉, 채하봉, 온정령, 상등봉, 옥녀봉, 집선봉, 세존봉을 비롯한 수많은 봉우리들이 있다. 내금강지구에는 월출봉, 일출봉, 차…
조회 : 747
금강산을 노래한 백인준선생[2020-05-05]
예로부터 금강산의 뛰여난 절경은 세상에 널리 알려져왔으며 많은 사람들이 명산을 노래한 수많은 문학예술작품들도 창작하였다. 그들가운데는 명산의 아름다움을 더욱 꽃피우고 빛내여준 우리 당에 대한 인민들의 다함없는 흠모의 마음을 특색있고 통속적인 운률…
조회 : 738
백정봉구역의 바리봉[2020-04-25]
백정봉구역의 바리봉은 수정봉구역의 바리봉과 마찬가지로 그 생김새가 마치 바리를 뒤엎어놓은듯 하여 《바리봉(발우봉)》이라고 한다. 바리봉말기로 가는 길은 백정봉전망대에서 서북방향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게 되여있다. 봉말기에 들어서면 눈앞에 벌…
조회 : 838
총석정 바위들과 돌다리의 지명유래[2020-04-25]
총석정에는 기기묘묘한 모양을 하고 솟아있는 바위들이 많은데 북바위, 상바위, 비석바위, 박쥐바위, 거북바위 등이 있다. 북바위는 생김새가 마치 북처럼 생겼으므로 《북바위》라고 부르며 상바위는 그 생김새가 꼭 상을 펴놓은듯 바위가 널직하게 생겼다 하여 《…
조회 : 756
금강산의 상팔담구역에서 있은 폭포의 후퇴작용[2020-04-25]
금강산의 상팔담구역은 짧은 구간에 각이한 특징을 나타내는 여러개의 담소들과 폭포들이 분포되여있는것으로 하여 금강산에서 자연경관이 대단히 아름다울뿐아니라 여러가지 지질학적현상들이 존재한다. 폭포와 담소의 련속으로 이루어져있는 상팔담구역에서 특…
조회 : 715
금강산과 관련한 속담들[2020-04-25]
속담은 오랜 생활과정에서 얻어진 경험과 교훈을 간결하면서도 형상적인 언어형식으로 표현한 구전문학의 한 형태로서 여기에는 장구한 력사적시기를 통하여 이루어진 경험과 교훈, 사상적지향 등이 집약적으로 반영되여있다. 특히 인민의 민족적인 풍속과 사고방…
조회 : 735
총석단, 서재봉, 작소봉의 지명유래[2020-04-21]
총석단은 총석정구역에 있는 곶이다. 강원도 통천군 통천읍의 동북쪽 바다기슭에 있다. 총석들이 기묘한 절경을 이루고있으므로 《총석단》이라고 부른다. 곶의 제일 끝부리에 등대가 있다. 곶의 한가운데 작은 바위봉우리가 2개 솟아있는데 북쪽에 있는…
조회 : 771
총석정구역의 지명유래[2020-04-21]
총석정구역은 통천읍의 동북쪽끝에 있는 총석정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국도까지, 남쪽으로 금란굴에 이르기까지의 바다가명승을 포괄한다. 예로부터 《통천금강》으로 불리워오는 총석정구역은 주로 바다기슭에 서있는 모난 돌기둥들의 기묘한 자태와 바다물의 침…
조회 : 784
금강산화강암의 형성과 그 조화[2020-04-17]
우리 나라는 그 어데가나 다 절승경개를 이루고있지만 그중에서도 금강산은 경치가 특출하게 뛰여난 명승지이다. 금강산을 이루고있는 바위는 중생대에 형성된 화강암이다. 금강산화강암을 만든 암장은 땅속깊은곳에서 화강암을 형성하였던것이 지금으로부터 …
조회 : 870
신계천 구룡연-상팔담계곡의 빙퇴석[2020-04-17]
이 계곡에서는 2개의 지점에서 빙퇴석을 조사확증하였다. 큰 규모의 빙퇴석은 계곡의 해발 200m 계선에 있고 작은 규모의 빙퇴석은 해발 260m의 신계천과 가는골합류점우안에 발달되여있다. 1) 신계천 구룡연-상팔담계곡의 해발 200m계선의 빙퇴석 이 빙퇴석의 크…
련계 / 문의 / 사진 / 동영상 / 독자게시판
관리자 (E-Mail): kszait@star-co.net.kp
Copyrightⓒ 2012 - 2021 《조선금강산국제려행사》